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취의 시작,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 법
    DAILY LIFE/꿀팁 생활정보 2018. 3. 28. 00:15
    SMALL



    민원24 통해 인터넷으로 셀프 전입신고하기




    곧 자취를 앞두고 전입신고를 해야하는데 이사가는 곳 동사무소가 너무 멀어

    집에서 민원24를 통해 셀프로 전입신고를 마쳤다.

    전입신고는 생각 외로 간단하고 빠르게 신고가 가능하다.


    특히 나처럼 부모님 집에서 지내다가 처음 따로 전입신고 하는 경우엔 더 도움이 될 듯 하여

    작성해보는 전입신고 하는 법이니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1. 민원24 접속


    https://www.gov.kr/portal/minwon







    2. 전입신고 클릭


    로그인 후 메인 페이지 왼쪽에 보이는 자주찾는 민원에서 전입신고 버튼 클릭






    3. 전입신고 신청하기


    바로 신청하기 버튼이 나온다.

    신청작성예시도 자세하게 나와있으니 헷갈릴 때 참고할 수 있다.






    4. 전입신고서 작성 1단계 : 전출입 구분


    예시를 차근차근 읽어보면 알 수 있는데 나처럼 부모님 집에서 처음 독립해 나오는 경우에는 전입구분 → 세대구성,

    전출구분  세대주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세대일부 전출 (세대주 미포함)

    을 택하면 되겠다.

    이사할 곳에 나처럼 혼자 이사가는 경우에는 이사할곳 세대주와의 관계에 본인을 선택하면 된다.





    5. 전입신고서 작성 2단계 : 전입지 및 전출지


    여기서 중요한 점은 전출지, 즉 이사나오기 전 살고 있는 집의 세대주를 확인해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신청인의 정보가 적혀 있는데 부모님 댁에서 나오는 경우에는 대부분 부모님이 세대주로 올라와 있기 때문에

    세대주로 올라와 있는 부모님 정보를 작성하여야 한다.


    전입지, 이사가는 곳의 세대주는 나의 정보를 입력하면된다.

    전입지 주소에서 공동주택 여부는 예시와 같이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일 때 '예'를 선택하면되는데

    나는 다가구주택으로 이사하므로 공동주택 여부에 '아니오', 다가구주택 여부에 '예'를 선택하였다.

    전입지의 건축물 용도가 헷갈리는 경우, 건축물 대장을 떼어 보면 정확하게 알 수 있다.





    6. 전입신고서 작성 3단계 : 전입자 및 기타


    전입인원에는 세대원정보조회를 통해 전입하는 인원을 모두 체크하면 된다.

    우편물 전송을 받으려 하는 세대주 및 세대원에는 본인의 이름을 기재하고 민원신청하기를 누르면 완료 !








    신청하고 30여분 지났을까 바로 민원이 처리되었다고 문자가 도착했다.


    나는 바로 확정일자도 온라인으로 발급 신청하였는데 확정일자는 온라인으로 받는 게 생각보다

    간단한 듯 하면서 간단하지 않았다ㅠ.ㅠ

    시간 여유가 된다면 동사무소에서 받는 것을 추천하고 만약 나처럼 온라인으로

    받을 사람들을 위해 다음 글에서는 확정일자 발급받는 법을 작성해보겠다.



    자취 라이프 시작 !

    LIST

    댓글

Aria's Horoscope